[경제읽기] 흑연 수출 규제 앞둔 중국…한국 '괜찮다' 신호?<br /><br /><br />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, 김광석 한양대학교 겸임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중국이 미국의 첨단 분야 기술 제재에 맞서 광물 자원 통제를 본격화하는 모습입니다. 반도체 원료인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을 통제한 데 이어 다음 달부터 흑연 수출 통제를 강화하기로 한 건데 어떤 원료이기에 이목이 집중되는 건가요? 현재 중국의 흑연 생산량은 어느 정도인가요?<br /><br /> 흑연 수출 통제를 앞둔 중국은 한국 기업만 불러 수출 통제 정책을 설명하는 별도의 행사를 열기도 했습니다. 미국과 전략 경쟁 와중에 우리 기업들이 가진 우려를 불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는 건 무슨 의미일까요?<br /><br /> 당장은 한숨을 돌렸지만, 미·중 관계가 악화될 경우 미국에 공장을 둔 우리 배터리 기업으로의 수출 허가가 지연·반려될 가능성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데 어떻게 보시나요? 공급망 리스크를 낮출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은 없는 걸까요?<br /><br /> 경영진의 사법 리스크 등으로 위기에 빠진 카카오에게 또 다른 악재가 불거졌습니다. 이번엔 모바일 상품권 관련 공정거래법을 위반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무슨 일이 있었던 건가요?<br /><br /> 이번 논란의 핵심은 모바일 상품권의 계약과 유통 구조에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통상적으로 모바일 상품권 수수료율 부과 방식과 유통 과정이 어떻게 되기에 그런 건가요?<br /><br /> 지난달 국감에서도 모바일 상품권의 높은 수수료 등이 도마 위에 올랐었는데 어떻게 정비되어야 할까요? 카카오 김범수 창업자는 전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했었는데 모바일 상품권 수수료율 논의 필요성은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